결로와 누수 구분하는 방법
결로 VS 누수
결로와 누수는 여러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거주하는 방 안이나 베란다, 발코니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 다 '물'과 관련되어 있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과 관련되어 있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발생하는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역시 전혀 다릅니다.
때문에 벽면이 오염되어 있다면, 이것이 결로인지 누수인지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1. 증상이 언제부터 발생했는지가 중요합니다
결로는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되며, 보통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 쪽으로 이동하는데 차가운 공기 쪽으로 이동하지 못한 수증기가 거주공간 내에서 이슬방울과 같이 맺힌 증상이 결로입니다.
이에 반해 누수는 배관이 노후되었거나 방수층 크랙 등으로 인해 발생되며, 계절에 상관 없이 발생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결로는 겨울철에 주로 발생합니다.
누수는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증상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실내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는 '벽면 모서리' 에 주로 발생합니다.
더운 공기가 찬 공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벽면 모서리는 더운 공기의 이동경로를 막아 더운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벽 모서리는 다른 벽면에 비해 결로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가구나 물건이 배치된 뒷벽에 곰팡이나 습기가 느껴진다면 결로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환기나 통풍이 되지 않는 경우 고온의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해 생기는 결로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에 반해 누수는 위치와 상관없이 발생되며, 배관의 잘못인지 외벽의 원인인지, 욕실 방수의 문제인지 등에 따라 발생되는 위치는 다를 수 있으며, 누수의 원인을 중심으로 누수가 확대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로는 모서리, 베란다 벽면, 가구나 물건을 배치한 뒷 벽면에 주로 발생
누수는 원인에 따라 발생장소가 다름
3. 증상의 형태
결로와 누수를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증상의 형태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결로의 경우 이슬이 맺혀있는드한 방울 형태이며 이슬방울이 벽면에 흡수되어 습한 상태가 지속되면 이슬방울 모양 그대로 곰팡이가 발생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누수는 배관에서 누출된 물이 한꺼번에 벽면을 적시는 형상이며 물이 흥건하게 맺혀있는 모양 그대로 오명자국을 나타내며 부위 또한 넓게 퍼져나가는 형태를 나타냅니다. 다만, 누수의 원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도 다르기 때문에 특정형상만으로는 규정할 수 없습니다.
결로 현상 | 누수 현상 |
겨울철에 주로 발생 벽면의 모서리, 가구 뒤 벽면 등에서 발생 자글자글한 모양 |
언제나 발생 가능 천장이나 바닥면에서 주로 발생 지도모양으로 넓게 퍼져나감 |
아파트 누수탐지비용 부담은 누가해야할까요?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누수와 관련한 분쟁이 끊이지 않고 발생합니다. 분쟁이 발생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비용 문제에서 출발한다고 볼수 있구요. 게다가 누수는 증상은
nusoouncle.tistory.com